목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신교 내부의 구조적 문제와 책임 전가의 메커니즘 개신교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패와 비리, 특히 다락방과 같은 사건은 단순히 몇몇 지도자의 문제로 치부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그러나 많은 개신교 단체는 이런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책임을 해당 지도자에게 전가하며 조직의 본질적인 문제를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결국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책임을 특정 목사 개인에게 떠넘기는 데 이르고, 해당 교회의 문제로만 삼으며 전체 개신교의 타락에 대해서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비판만 하기 때문이다.책임 전가의 메커니즘종교적 부패가 드러날 때마다 흔히 반복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개인화된 책임: 문제가 드러나면 지도자(목사, 전도사 등) 한두 명을 비난하며 그들을 "개인의 타락"으로 몰아간다.조직의 분리 선언: .. 한국 개신교의 문제와 원인들 한국 개신교는 많은 신도들을 거느리고 있는 종교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목사 간의 칼부림 사건을 비롯하여 여러 비리와 범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면서, 개신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본 글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현황과 문제 사례를 분석하고, 그 원인과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한국 개신교의 현재 상황문화체육관광부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는 정식으로 등록된 개신교 교단이 118개, 등록된 목사가 14만 명에 달한다. 전 세계 개신교 교단이 약 145개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은 매우 많은 개신교 교단이 활동하고 있는 나라이다. 그 중에서도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총회는 1만 개 이상의 교회와 295만 명의 신도를 보유하며, 가장 큰 교단으로 자리하고 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