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천가톨릭대학교 성추행 사건: 은폐된 진실과 피해자의 외침"

reuby4 2024. 8. 10. 00:12

사진출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791727

 

2018년, 한 주간지의 단독 보도로 인해 이 사건이 처음으로 알려졌다. 해당 보도는 인천교구 소속 젊은 신부들의 잇따른 죽음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성추행 사건이 배경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생 성추행 사건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당시 총장이었던 최기복 신부가 신학생들을 성추행했으며, 교회 상층부에서 이를 은폐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SBS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이 이 사건을 조사하면서 최신부의 성추행 행위가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1. 최기복 신부는 인천가톨릭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신학생들을 성추행했다.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최 신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신학생들을 성추행했다:
  2. 개인 면담 시 신체적 접촉 최 신부는 개인 면담을 이유로 신학생들을 자신의 방으로 불러들였고, 이 과정에서 신체적 접촉을 시도했다. 신학생의 중요 부위에 손을 대거나, 신학생에게 키스를 시도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
  3. 외출 시 성추행 최 신부는 학교 밖으로 일을 보러 나갈 때 신학생들을 동행하게 했으며, 이 과정에서 차량 뒷좌석에 함께 타면서 신학생의 신체를 자꾸 만지는 등 성추행을 일삼았다. 한 피해자는 운전기사가 있는 상황에서도 최 신부가 옆에 앉은 신학생을 추행했다고 증언했다.
  4. 합숙 시 성추행 최 신부는 학교 건설 모금 활동을 위해 신학생들과 함께 1박 2일 일정으로 외출했을 때, 신학생들에게 강제로 성적인 접촉을 시도했다. 한 피해자는 자신의 동기 신학생이 최 신부에게 강제로 키스를 당하는 장면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이러한 성추행 행위는 교회 내부에서 은폐되었으며, 최 신부는 대학 총장직에서 물러났지만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다. 이후 그는 다른 지역에서 수도회를 운영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사건이 공론화된 후, 인천교구는 최기복 신부를 인천교구에서 쫓아냈으나, 사제직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지역의 수도회에서 활동할 수 있게 했다. 이는 형사처벌이나 공적인 면직 조치 없이 이루어졌다. 결국 사건이 더욱 확대되어 공론화된 이후에야 인천교구는 최기복 신부의 성추행 사실을 공식 확인하고 모든 직책에서 면직했다. 또한, 인천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에서도 그의 이름을 삭제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사건이 드러난 후에야 이루어졌으며, 그동안 피해자들은 고통 속에서 침묵을 강요받았다.  인천교구는 “1998년 당시 받은 피해자의 진술서는 피해자 보호차원에서 파기되었다.”고 이야기 했다.


바티칸에서는 가톨릭 내의 성범죄 사건 은폐를 강력히 규탄하며 책임지라고 요구한다. 한 신부는 "한국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충고했고 "남성 지적장애인 집단을 사제라는 명목으로 관리하지 않냐. 같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